나눔-조건없이 베풀 수 있는 바보가 되십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132회 작성일 23-06-27 09:46본문
우리가 살아가면서 만나는 모든 이에게 우리 각자마다 기대감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 기대감은 자신과 더 가까운 관계에 있는 이들에게 더 크게 느껴지게 마련입니다. '이 정도야 해주겠지, 이 정도는 이해해주겠지...'라는 의식이 언제부턴가 우리 안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지요.
여기서 생각해봐야 하는 것은 '이 정도'라는 것의 범위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물론 모두가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그 범위에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타인이 '이 정도'까지 베푸는데에 있어서, 어떠한 수고와 노력을 기울이며, 그것을 행하였는지를 생각하기보다 자연스럽게 결과에 마음을 쓰고 그것에 집착하는 우리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정도'까지는 해줬으니까 자연스레 그 이상을 바라게 됩니다. 나눔과 베풂을 받은 이에게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감사의 마음이지만, 그것이 반복될수록 그것을 잊어버리는 것이지요.
이제 입장을 바꿔서 생각해봅니다. 그 '이 정도'라는 개념이 과연 자신이 다른 이에게 베푸는데 있어서도 적용되는가 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받는 것보다 주는 것에 많은 고민과 갈등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왜 주고 받음에서 이러한 내적인 차이가 드러나겠습니까?
그것은 주고 받는 행위 자체에 그 중요성과 의의를 두기보다 주고 받음 사이에서 계산이 먼저 앞서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주고 받음, 이 나눔이 양적, 질적인 계산의 오류에 빠지게 된다면, 그것은 형식에 불과한, 다른 이들에게 자신을 보이기 위한 행위에 지나치지 않습니다. 어떻게 보면, 그것은 조건적 베풂에 불과한 것이며, 이 안에는 분명 보상 심리에 대한 기대가 자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보상의 여부에 따라, 기쁨과 행복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다른 이들이 아닌 자신을 위한 베풂으로 전락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베풂 안에서는 '이 정도'라는 유혹이 끊임없이 따라다니게 마련입니다.
베풂 그 자체는 아름다운 것입니다. 베풂의 보상은 그분께서 주시는 것입니다. 베푸는데에 있어서 우리는 잠시 바보가 되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 하느님 아버지의 바보로 사셨던 것처럼 말입니다. 그분께서는 계산적 나눔을 초월하셨기에, 바보처럼 다 내어주실 수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가 다른 이에게 바라는대로 그렇게 해주고 있습니까? 그 안에서 우리에게 다가오는 내적인 유혹은 무엇인지 생각해보시는 하루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