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그분께서 주신 것, 그분 뜻에 맞게 사용하십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5-08-30 11:58본문
오늘 복음에서 탈란트의 비유를 들려주십니다. 주인은 종들에게 각자의 능력에 맞는 탈란트를 맡깁니다. 그리고 주인은 탈란트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없이 종들을 떠납니다. 종들은 당연히 자신에게 맡겨진 탈란트를 보며, 생각에 빠지게 되겠죠. 주인은 왜 탈란트를 자신에게 주었을까? 이 탈란트를 가지고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
그들의 고민과 생각 속에서, 자신의 삶에 있어서 주인은 어떤 존재인가? 라는 질문이 끊임없이 반복되지 않았을까 합니다. 주인과 자신과의 관계성이지요.
다섯 탈란트와 두 탈란트를 받은 이들에게 주인은 그저 종속적 관계에서 복종해아하는 이가 아닌, 삶의 보호자요, 언제나 기댈 수 있고 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동반자였습니다. 그러한 관계 안에서 감사와 존경의 대상이었지요. 그러기에 그들은 주인이 맡긴 탈란트를 기꺼운 마음으로 더 풍요롭게 되돌리고자 했던 것입니다. 이를 통해 그들의 삶 역시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었던 것이지요.
하지만 복음에서도 언급되어 있듯이, 한 탈란트를 받은 이에게 주인은 두려운 사람이었습니다. 주위를 살피고, 이곳저곳 눈치를 보면서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탈란트를 땅에 묻습니다. 그는 탈란트만을 땅에 묻은 것이 아니라, 자신 스스로의 삶을 땅에 묻는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복음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주인의 탈란트를 마치 제 것인양 사용한 이의 모습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주인을 이용해, 자신의 삶을 챙기는 이들이지요. 이는 현 시대, 세속화의 유혹 속에 존재하는 교회에서 조금씩 드러나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주님의 것을 마치 제 것인양, 주님을 이용해 자신을 챙기거나 자신의 생각이나 판단은 무조건 옳다고 생각하는 참으로 파렴치한 성직자, 수도자나 소위 한 자리 한다는 이들이 분명히 있지요.
우리는 어떤 이들의 부류에 속해 있는지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그 부류에 따라 그분과의 관계, 우리의 삶의 행복과 불행은 물론, 그 열매도 정해져 있음을 기억해야할 것입니다.
그들의 고민과 생각 속에서, 자신의 삶에 있어서 주인은 어떤 존재인가? 라는 질문이 끊임없이 반복되지 않았을까 합니다. 주인과 자신과의 관계성이지요.
다섯 탈란트와 두 탈란트를 받은 이들에게 주인은 그저 종속적 관계에서 복종해아하는 이가 아닌, 삶의 보호자요, 언제나 기댈 수 있고 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동반자였습니다. 그러한 관계 안에서 감사와 존경의 대상이었지요. 그러기에 그들은 주인이 맡긴 탈란트를 기꺼운 마음으로 더 풍요롭게 되돌리고자 했던 것입니다. 이를 통해 그들의 삶 역시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었던 것이지요.
하지만 복음에서도 언급되어 있듯이, 한 탈란트를 받은 이에게 주인은 두려운 사람이었습니다. 주위를 살피고, 이곳저곳 눈치를 보면서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탈란트를 땅에 묻습니다. 그는 탈란트만을 땅에 묻은 것이 아니라, 자신 스스로의 삶을 땅에 묻는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복음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주인의 탈란트를 마치 제 것인양 사용한 이의 모습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주인을 이용해, 자신의 삶을 챙기는 이들이지요. 이는 현 시대, 세속화의 유혹 속에 존재하는 교회에서 조금씩 드러나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주님의 것을 마치 제 것인양, 주님을 이용해 자신을 챙기거나 자신의 생각이나 판단은 무조건 옳다고 생각하는 참으로 파렴치한 성직자, 수도자나 소위 한 자리 한다는 이들이 분명히 있지요.
우리는 어떤 이들의 부류에 속해 있는지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그 부류에 따라 그분과의 관계, 우리의 삶의 행복과 불행은 물론, 그 열매도 정해져 있음을 기억해야할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